방미통위 주최·시청자미디어재단 주관…OECD·IFCN 등 참여
AI시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란…정보무결성 콘퍼런스 28일 개최
방미통위 주최·시청자미디어재단 주관…OECD·IFCN 등 참여
(서울=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가 주최하고 시청자미디어재단이 주관하는 '2025 정보무결성 강화 국제 콘퍼런스'가 오는 28일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열린다.
이번 콘퍼런스는 AI(인공지능) 시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허위조작정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언론·플랫폼·시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역할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자 국내 최초로 마련됐다.
특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팩트체킹네트워크(IFCN), 호주통신미디어청(ACMA) 등 관계자들이 참여해 "허위조작정보 대응 및 정보무결성 강화: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주제로 의견을 나눈다.
앞서 OECD는 AI 등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국가 간 정보 흐름이 자유로운 현시점에서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낳을 수 있는 허위조작정보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방안으로 '정보 무결성'(information integrity)을 강조하며, 국경을 초월한 정부 간 협력은 물론 온라인 플랫폼과 사회 전반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공동 노력이 필요함을 지적한 바 있다.
OECD 권고안에 따르면, 정보 무결성이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증거 기반의 다양한 정보원에 대한 접근을 촉진하고, 개인이 다원적이고 다양한 사상에 노출되어 정보에 기반한 선택을 하고 권리를 더 잘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환경의 결과물을 뜻한다.
총 4부로 구성된 이번행사 1부에서 샤를 보비옹 OECD 정보무결성 총괄이 "정보 무결성 강화: 과제와 기회"를 주제로 기조연설과 대담을 진행한다. OECD 공공거버넌스국 국장실 자문관으로서 사회적 회복탄력성과 신뢰 구축을 연구해 온 샤를 총괄은 정보 무결성 강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과 제도적 구조 강화를 촉구하는 'OECD 정보 무결성 권고안'의 주요 원칙을 소개한다.
2부에서는 "허위조작정보 대응의 다각화·다변화"를 주제로 앤지 드롭닉 홀란 IFCN 국장과 정은령 세명대학교 저널리즘대학원 교수(현 IFCN 이사)가 AI 시대 팩트체크 거버넌스에 관한 새로운 통찰을 제시한다. IFCN은 미국 포인터연구소가 설립한 글로벌 팩트체크 허브로, '팩트체킹 원칙'(Code of Principles) 인증을 통해 전 세계 사실검증 기관 간 협력과 윤리 기준 확립을 이끌고 있다.
3부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의 투명성·책임성 강화"를 주제로 켈리 머드포드 ACMA 허위정보·플랫폼 책임자가 호주의 자발적인 '허위정보·오정보 근절 실천 강령' 개발과 시행 경험을 공유한다. 김현수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박사는 플랫폼 자율규제 활성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허위조작정보 대응을 위한 플랫폼 사업자의 역할과 책임에 관해 제언한다.
마지막 4부에서는 "온라인 정보 무결성 확보를 위한 사회 구성원 간 협력 강화"를 주제로 조성은 KISDI 연구책임자, 김가연 X 코리아 상무, 박세용 SBS[034120] 기자, 이경락 YTN[040300] 저널리즘연구소장, 김세진 인천신청초등학교 교사가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시민의 비판적 정보 리터러시 향상의 중요성에 관해 토론한다.
최철호 시청자미디어재단 이사장은 "오늘날 우리 사회는 생성형 AI 등 첨단 기술의 혜택으로 정보 처리의 편리함을 누리는 동시에 갖가지 유해·허위정보에 손쉽게 노출되고 있다"며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허위정보 대응에 관한 국제사회 협력의 필요성을 알리고,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의 중심 기관으로서 시민의 허위정보 대응 역량 강화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콘퍼런스는 유튜브 '시청자미디어재단 미디온플러스' 채널을 통해 생중계된다.
rao@yn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