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다카이치, '대만 문제' 입장 전했지만 트럼프 진의 몰라"
"中, 日보다 먼저 트럼프와 통화해 미일 분단 노려…日압박 강화 가능성"
중일 갈등에도 '日지지' 언급 없는 트럼프…日, 불안·경계 확산
日언론 "다카이치, '대만 문제' 입장 전했지만 트럼프 진의 몰라"
"中, 日보다 먼저 트럼프와 통화해 미일 분단 노려…日압박 강화 가능성"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타스·AP·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 이후 중국과 일본 간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애매한 태도에 일본 내에서 불안과 경계감이 확산하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26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한 데 이어 25일에는 다카이치 총리와 통화했다.
일본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대만 문제를 논의했고, 이후 다카이치 총리와 통화에서도 대만 문제를 협의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만 문제에 관한 일본 정부 입장, 중일 대립 관계 등을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다만 일본 정부는 미일 정상 간 통화에서 대만 문제가 의제로 다뤄졌는지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이에 앞서 중국 신화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미국은 중국에 있어 대만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고 말했다고 전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통화 내용을 소개한 소셜미디어(SNS) 글에서 대만 문제나 중일 갈등에 대해 거론하지 않았다.
아사히는 미일 정상 통화에 대해 "다카이치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미중 정상 통화 내용을 사후에 보고받는 형태가 됐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중일 갈등과 관련해) 일본에 대한 우려를 (다카이치 총리에게) 전달하지는 않았다고 한다"고 전했다.
일본 입장에서 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과 통화 직후 다카이치 총리와 통화를 원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중일 갈등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진의를 읽지 못해 그의 대응을 불안하게 바라보고 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아사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초순 미국과 중국을 'G2'(주요 2개국)라고 언급한 사실에 주목하면서 "태평양을 동서로 분할해 미국과 중국이 서로 세력권을 인정하는 것이어서 일본은 받아들일 수 없는 구상"이라고 해설했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중일 갈등 상황에서 동맹국인 일본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표명하지 않고, 중국과 관계 개선에 힘쓰는 모습을 보이는 것도 일본이 근심과 경계감을 느끼는 이유라고 이 신문은 짚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지난달 30일 부산에서 만난 미중 정상이 한 달 만에 통화한 것과 관련해 "시진핑 지도부가 가장 중시하는 대만 문제에 대해 미국의 이해를 얻고 (미국이) 중일 대립에 관여하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가 비친다"고 분석했다.
이어 중국은 대만 문제에서 미국이 일본을 지지해 중국에 함께 대항하는 것을 경계한다면서 "미국이 대만 문제에 본격적으로 개입하면 통일도 한층 어려워진다"고 덧붙였다.
이 신문은 "중국은 미국이라는 후원자가 없는 일본에 위압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희토류 수출 규제, 사증(비자) 면제 정지 등의 조처를 단행할 수도 있다고 관측했다.
마이니치신문도 "대만 주변을 포함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무언가 문제가 발생할 경우 미국과 먼저 협의해야 하는 것은 동맹인 일본"이라며 이번에 일본보다 먼저 미국과 대만 문제를 논의한 중국이 앞으로도 선수를 칠 수 있다고 해설했다.
요미우리는 중국이 대만 문제에서 미국과 일본을 갈라놓으려 한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과 통화 직후 다카이치 총리와도 통화하면서 중국의 여론전에 대항하는 듯한 인상을 줬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외무성 간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대화를 하는 와중에도 (다카이치 총리와 통화를 통해) 대일 관계를 마음에 두고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고 요미우리에 말했다.
한편, 중국이 일본 여행 자제령을 내린 이후 중국 SNS에서 일본 여행 관련 글이 삭제되고 있다고 아사히가 전했다.
아사히는 "중국 SNS는 당국이 검열하고 있다"며 중국 정부가 다카이치 총리 발언에 대한 비판과 동떨어진 생각이 SNS를 통해 확산하는 것을 경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psh59@yn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