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 수와 구독자 비율 모두 늘리려는 전략…"제미나이3 출시 전 예측" 평가도
"오픈AI, 5년내 챗GPT 유료구독자 2억2천만명으로 확대 전망"
이용자 수와 구독자 비율 모두 늘리려는 전략…"제미나이3 출시 전 예측" 평가도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권영전 특파원 =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의 유료 구독자 수가 5년 안에 2억2천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오픈AI가 전망하고 있다고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이 소식통을 인용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오픈AI는 현재 8억 명 수준인 챗GPT의 주간활성사용자(WAU)가 2030년까지 26억 명으로 늘어나고, 이 가운데 8.5%에 해당하는 2억2천만 명이 '플러스' 요금제의 구독자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7월 기준 '플러스'와 '프로' 요금제의 합산 구독자는 3천500만 명으로 당시 WAU인 7억 명의 5% 수준이었다.
결국 오픈AI는 챗GPT의 전체 이용자 수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리면서, 이 가운데 유료 구독자의 비율도 높이려는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구독자 2억2천만 명은 워드·엑셀·파워포인트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피스 365의 유료 구독자 4억5천만 명에 비견되는 숫자다.
오픈AI 요금제는 월 20달러짜리 플러스와 월 200달러짜리 프로로 나뉜다.
만약 2억2천만 명이 플러스 요금제를 이용하게 되면 여기에서 나오는 연 매출액만 해도 528억 달러(약 78조원)에 달하게 되는 셈이다.
프로 요금제 구독에 따른 수익을 포함하면 매출액은 더 올라가게 된다.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이달 초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오픈AI의 올해 매출액이 2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2030년까지 수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디인포메이션은 챗GPT의 WAU 증가폭이 최근 들어 극심한 변동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1월에는 전달 대비 42% 급증했지만, 9월에는 13% 늘어나는 데 그쳤다는 것이다.
또 오픈AI가 이와 같은 전망을 내놓은 것은 구글이 최근 시장에서 압도적인 호평을 받는 경쟁 서비스 '제미나이3'를 발표하기 이전이라고도 이 매체는 언급했다.
comma@yn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