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韓, 그림자금융의 약한 고리…부동산 부문서 균열"
블룸버그 "韓, 그림자금융의 약한 고리…부동산 부문서 균열"
  • 차병섭
  • 승인 2024.04.23 1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PF 문제의 끝이 아닌 시작일 가능성" 우려도

블룸버그 "韓, 그림자금융의 약한 고리…부동산 부문서 균열"

"태영건설 워크아웃, PF 문제의 끝이 아닌 시작일 가능성" 우려도

서울 영등포구 태영건설 본사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부동산 대출 부실 등의 여파로 한국이 그림자 금융(비은행 금융) 분야에서 면밀히 주시해야 할 약한 고리로 떠오르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3일 평가했다.

금리 인상 이후 한국 그림자 금융 부문의 국내외 부동산 익스포저(위험노출액)에서 균열이 나타나고 있으며, 티로웨프라이스와 노무라증권 등 일부 금융기관이 우려를 표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본시장연구원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비은행권이 보유한 부동산 그림자 금융 규모는 926조원으로, 전년(886조원)보다 4.5% 늘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는 10년 전보다는 4.2배 증가한 것이다.

또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은 6.55%로 전년 대비 3.14%포인트 올라 2011년 저축은행 사태(5.8%포인트) 이후 12년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으며, 올해 1분기 연체율도 작년 말보다 상승한 것으로 전해졌다.

씨티그룹 이코노미스트들은 '문제가 많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채 규모가 111조원에 이른다고 추정하기도 했다.

금융위원회 자료를 보면 2020년 말 3.37%였던 증권사 PF 관련 대출의 연체율이 지난해 3분기 말 13.85%, 4분기 말 13.73%로 올라온 상태다. 저금리와 부동산 가격 상승 시기에 PF 사용이 늘어났고, 증권사들은 PF 대출을 증권화해서 투자자들에게 판매해왔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19개월 전 레고랜드 사태를 통해 신용시장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온 바 있으며, 당국이 대출 보증 확대 등을 통해 위기 전염을 막고 있지만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에서 알 수 있듯이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다.

티로웨프라이스의 쿠엔틴 피츠시몬스 글로벌 채권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한국의 현 상황에 대해 "어디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축소판"이라면서 "우려된다"고 말했다.

물론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상승이 한국 만의 현상은 아니며, 미국에서는 올해 1분기 레버리지 대출의 디폴트 비율이 6%를 넘기도 했다.

그렇지만 블룸버그는 당국의 신속한 정책 대응을 통해서도 한국의 우려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부실로 건전성 위기가 고조된 저축은행을 상대로 최근 현장 점검에 나서기로 한 상태다.

노무라증권 박정우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정부가 (부동산 부문) 구조조정에 속도를 낼 것"이라면서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끝이 아니며, PF 부채 스트레스의 시작일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블룸버그는 전례 없는 부동산 경기 둔화 속에 1천300억 달러(약 179조원) 이상의 회사채가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진 중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신용 위험이 경제 전반에 타격을 가하지는 않은 상태라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한국 부동산 문제에 아직 최악은 오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씨티그룹 김진욱 이코노미스트는 PF 부채 구조조정으로 인해 하반기 경제 성장률이 0.2%로 둔화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크리슈나 스리니바산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국장은 "한국 당국이 위험을 관리하고 있지만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면서 "일부 소형 기관이 위험해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는 1990년대 일본에서와 같이 부동산 가격 급락으로 대출 부실과 경제 타격이 심해질 경우 당국의 대응 여력이 부족할 것으로 보기도 했다.

이밖에 한국 비은행 금융기관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상업용 부동산에 대규모로 투자해왔으며, 코로나19 이후 상업용 부동산 경기 둔화로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bscha@yna.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