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즘] 다문화가정은 '우리 이웃'…"편견·차별은 여전"
[뉴스프리즘] 다문화가정은 '우리 이웃'…"편견·차별은 여전"
  • 윤민영
  • 승인 2019.07.15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프리즘] 다문화가정은 '우리 이웃'…"편견·차별은 여전"

[명품리포트 맥]

우리 주변에서 다문화가정은 더는 낯설지 않을 정도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편견과 차별 때문에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최근 발생한 '베트남 아내 폭행 사건'에서 보듯 이주여성들의 가정폭력 피해 역시 심각한데요.

이번주 뉴스프리즘에서는 다문화가정의 현실을 살펴봤습니다.

▶ 다문화가정 우리 이웃인데…여전히 편견·차별

서울의 한 외국인지원센터.

한국인 남성과 결혼해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 10년째 된 29살 창샌씨는 이곳에서 외국인을 돕는 봉사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외국인이지만 한국인 못지않게 일상생활을 하고 있는데, 처음부터 원만하게 우리 사회에 스며든 건 아닙니다.

<창샌 / 중국계 이주여성> "외국인인데 외국인이 왜 이 자리에 와요? 우리 아들은 여기서 취직 못하는데 외국인이 왜 우리 아들 일자리를 뺏냐…"

특히 한국에서 낳은 딸 아이에 대한 차별은 아직도 깊은 상처로 남아있습니다.

<창샌 / 중국계 이주여성> "아이의 한 친구가 (아이의 장점이 적혀있는 쪽지를) 아이 손에서 보자마자 찢어서 쓰레기통에 버렸어요. 왜 그랬는지 아냐고 물어보니까 중국인 엄마가 있다고…"

국내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은 지난 2017년 기준 186만명.

10년 전(72만명)보다 2배 넘게 늘었습니다.

다문화가정 자녀도 22만명을 넘긴 상황입니다.

이들은 대부분 중국과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권 출신으로, 여성의 경우 한국인 남성과 결혼해서 들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순화 / 생각나무BB센터 대표> "한국의 드라마 보고 너무 좋아서 한국을 선택한 경우가 많더라고요. 한국이 민주주의 사회고 엄청 편안하게 살 수 있다는 생각…"

하지만 창샌씨의 사례에서 보듯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한 보이지 않는 장벽뿐 아니라 이주여성을 차별이나 동정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여전하기 때문입니다.

<김중백 /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결혼이라는 동기, 결혼을 하려는 우리나라 남성들의 어떤 사회적 상황이 변하지 않는 상황, 상대적으로 경제력이 낮은 국가에서 많은 분들이 오시는 그러한 상황, 이런 것들이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외국인 여성과의 결혼은 매년 늘고 있지만, 외국인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포용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입니다.

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 (jinu@yna.co.kr)

▶ 이주여성이 소유물?…잘못된 인식이 부른 비극

한국인 남성과 결혼해 베트남에서 이주한 지 3년째인 25살 A씨는 현재 남편과 이혼소송을 준비 중입니다.

결혼한 직후부터 돌변한 남편은 특별한 이유도 없이 밤마다 폭언과 폭력을 일삼았습니다.

함께 거주하는 시어머니조차 말리긴 커녕 오히려 폭력을 휘둘렀고 겸상조차도 거부했습니다.

< A씨 / 베트남이주여성> "소주병으로 저를 때렸어요. 신랑 마주치면 많이 무서워요. 갑자기 그랬어요. 술 많이 먹고 밖에서 무슨 짜증 나면 저를 때려요."

지난 5년 간 숨진 결혼이주여성만 9명. 우발적으로 혹은 시댁 간 갈등이 부른 참사로 드러났습니다.

<베트남인 상담원 / 서울이주여성상담센터> "목 조르는 정도는 일반 정도라고 생각하고요. 흉기 가지고 와서 위협적으로 죽이겠다고 협박하고 실제로도 찌르는 경우도 있고…"

이주여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가정폭력을 부르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왕지연 / 한국이주여성연합회장> "내가 엄청 큰 돈을 내고 여자를 사왔다는 잘못된 인식을 가질 수 있는 거죠. 내 소유물이라고 볼 수 있고. 자기 맘에 안들거나 밖에서 스트레스 받을 땐 집에 와서 와이프에게 화풀이 하는거죠."

<이채희 / 서울이주여성상담센터장> "여기에서 쫓겨나면 갈 곳이 없기 때문에 함부로 대하더라도 분명히 집에 남아 있을거다,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피해 이주여성들이 쉽게 가정폭력의 굴레는 벗어날 수도 없는 상황.

신고할 곳을 아예 모르거나 아이 때문에, 혹은 고국에 돌아갈 자신이 없어서 참고 지내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현서 / 이주민지원공익센터 '감사와 동행'>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법률이 이주민들을 어떻게 통제하고 관리할 것이냐에 목적이 맞춰져 있고, 이들을 보호하고 인권을 어떻게 보장해나갈 것이냐에 대해서는 목적에 포함이 안 돼…"

지난해 경찰에 검거된 이주여성 가정폭력사범은 1,300여명 수준.

하지만 폭력피해 이주여성 보호시설은 전국적으로 28곳, 정원은 320명 수준에 불과합니다.

연합뉴스TV 황정현입니다. (sweet@yna.co.kr)

▶ "사회·가정 일원으로 존중해야…정책적 지원 필요"

베트남 의원단과 마주앉은 문희상 국회의장.

양국 의회 간 교류·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인데, 베트남에 사과를 합니다.

<문희상 / 국회의장> "베트남 국민 한분 한분께 참으로 미안한, 이루 말할 수 없는 마음을 느낍니다"

문 의장은 결혼 이주여성들이 인권의 사각지대에서 고통받는 일이 없도록 국회도 적극 나서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베트남 이주여성 폭행사건'이 공분을 사고 있는 가운데, 우리 사회 곳곳에선 이번 사건을 다문화 가정 전반에 대한 문제점을 돌아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우선은 문화적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이주여성과 그 자녀에게만 강요하는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이재정 / 민주당 의원> "한국인 배우자, 그의 가족들도 이주여성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의 문화 그리고 언어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도 교육과정을 조력할 필요…"

'사회의 한축'으로 자리매김한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에 대한 세심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에도 힘이 실립니다.

전문가들은 특히 우리 사회 일각의 '인종 차별'에 대한 사회적 환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나영 /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단순히 다문화란 이름으로 어떤 집단을 변별하고 낙인을 찍는 방식은 적절하지 않다고 봐요. 인종이나 젠더나 이런 부분이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고 연결돼 있고, 이런 문제도 장기적인 교육이나 이런 부분에서 고민해야…"

이주여성 100만명 시대,, 이주여성과 다문화 가정이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편견과 차별 없이 살아갈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연합뉴스TV 박현우입니다. (hwp@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